본문 바로가기
사회

심각한 상태의 한국 산불, LA 산불과 호주 산불

by petrichorblog 2025. 4. 5.
반응형

2025년 3월, 경상북도 의성군과 산청군을 포함한 중부 및 남부 지역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.

 

 

이번 대규모 산불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.

1. 3월은 본래 강수량이 적은 시기이며, 최근 몇 년간 겨울철 강수량 감소로 인해 숲이 매우 건조한 상태였다.

2. 일부 지역에서 불법 쓰레기 소각 및 논, 밭두렁 태우기가 원인이 됐다.

 

 

이번 산불로 인해 다음과 같은 피해가 발생했다.

인명 피해

  • 최소 31명 사망, 51명 부상

재산 피해

  • 약 4,015채의 주택과 1,914개의 농축산 시설 소실
  • 총 피해 면적 약 48,172.5헥타르

환경 및 문화재 피해

  • 대규모 삼림이 소실되면서 생태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줌
  • 경북 지역 사찰인 고운사 등 문화재 일부 소실

이러한 심각한 산불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생태계 파괴가 일어났고

 

산림 복구에 최소 10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

 

반응형

🔥한국 vs LA vs 호주

주요 원인 인간의 부주의 (소각, 실화) + 강풍 전선 스파크, 방화, 캠핑 불씨 + 산타아나 강풍 번개, 극심한 가뭄, 기후 변화
산불 발생 시기 봄철 (3~5월) 가을, 겨울 (9~12월) 여름철 (12~2월)
확산 속도 강풍이 불면 급속 확산 산타아나 강풍으로 빠르게 확산 초목이 잘 타면서 장기간 지속
피해 규모 중형급 산불이 자주 발생, 도심과 인접한 지역에서 큰 피해 광대한 산림 지역에서 초대형 산불 발생, 한 번 발생하면 수주~수개월 지속 대륙적 규모의 산불이 발생, 수개월 지속
대표적 피해 사례 2025년 경북 산불 (48,172ha 소실) 2018년 캠프파이어 (85명 사망), 2020년 대형 산불 2019-2020년 블랙 서머 (1,860만 ha 소실)
정부 대응 산불 진화 헬기 투입, 대규모 인력 동원, 긴급 대피령 사전 통제 소각(Prescribed Burn), 위성·드론 감시, 전력회사 책임 강화 군 병력 투입, 방화 건축 규정 강화, 생태계 복원 프로그램 운영
산불 복구 기간 약 10년 이상 10~20년 20년 이상 소요

출처 BBC

반응형